상위 2% 고소득 부부도 신생아대출, 출산가구 주택공급 연 7만→12만가구 확대
그린벨트 풀어 2만가구 신규택지 공급…신혼·출산·다자녀가구에 70% 배분
신규 출산가구에 공공주택 특공 기회 '1회 추가'
1. 신생아대출 소득 요건 2억 → 2.5억으로 상향
● 부부 합산 연 1.3억원 → 2억 ['25년 이후] 2.5억원(3년 한시)
● 대출 금리 1.6 ~ 3.3% → 추가 출산 우대 금리 1명당 0.2%P → 0.4%P 최저금리 1.2%
● 신생아 우선공급을 확대 20% → 35% 상향
● 일반 공급에서 50%를 신생아 우선공급 확대
● (변동x) 자산 기준 4.60억원, 가격 9억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가 구입자금 대출 대상 주택
2. 특별공급 개편 = 출산가구 추가 당첨 허용 / 신혼특공 결혼 전 당첨 이력 배제
● 평생 1회 → 출산 가구는 재당첨 가능(1회, 기존주택 처분 조건부)
● 신혼특공 청약시 본인의 결혼 전 청약 당첨 이력 배제
● 신혼특공 무주택 조건 → 입주자모집공고 시검 기준 판단
3. 결혼 및 자녀 세액공제
● 결혼 특별세액공제 → 세법개정안에서 대상/규모 결정(7월)
● 혼인합가주택 1주택 간주기간(양도세,종부세) 5년 → 10년으로 상향
4. 신규택지 발굴 등 공급 확대
● 민간 신혼특공 비중 18% → 23%
● 공공 일반공급 맞벌이 소득기준 신설 → 순차제 140%, 추첨제 200%
● 뉴홈 선택형(6년 분양전환) → 출산시 3년 거주 후 분양전
●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 신규 택지물량 2만가구확대, 신혼·출산·다자녀가구에 1만4천가구(70%) 공급
오늘은 6월 19일 저출산 부동산 대책 부분을 요약해봤습니다. 다음에는 육아휴직, 돌봄서비스에 대해 요약해오겠습니다.
난임, 임신, 출산 진료비, 육아휴직 지원금 정책 사업 정리(2024년)
2024년 난임, 출산, 육아휴직에 대한 지원금 정책 사업에 대해 정리합니다. 정부 정책은 사회의 변화에 발맞춰 끊임없이 발전하는 정부 정책을 정리 해드립니다. 1.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 임신
word.oi-haru.co.kr
'정책지원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기폐차 보조금 지원 금액 확인 (0) | 2024.06.23 |
---|---|
청년주거정책 총 정리 요약편 (0) | 2024.06.21 |
든든전세주택 정리(신청일, 지원조건, 시세, 거주기간) (0) | 2024.06.20 |
난임, 임신, 출산 진료비, 육아휴직 지원금 정책 사업 정리(2024년) (0) | 2024.06.19 |
금융피해자 및 금융소외자 대출 지원 (0) | 2024.06.16 |